본문 바로가기

각잉각색

거짓말. 친척. 그리고 담임선생님(김경민)


성적순으로 전공이 정해지고 학교도 정해진다. 그렇게 직업도 정해진다. 성적이 좋으면 의사가 되고 다음은 검사가 되고 다음은 뭐 모르겠다. 여튼 직업의식이 사라진 데에는 모든 것을 성적순으로 재단해버리는 이 사회의 책임이 크다. 그럼 뭘로 재단해야 하나. 솔직히 나도 잘 모르겠다.


뭐든 한 가지만 잘하면 대학에 갈 수 있다는 그 누군가의 말을 믿었다. 하지만 거의 모든 대학교 특별전형, 수시전형에서 수능 최저등급제를 적용하고 있었고 내신 비율 또한 적지 않게 적용하고 있었다. 한 가지만 잘하면 대학에 갈 수 있다는 말은 새빨간 거짓말이었다. 물론 그런 말들과 상관없이 내 학교 성적은 바닥이었고 프로그래밍 성적조차도 시원찮았다. 어느 한 가지도 잘 못했으니까 누구를 원망할 수도 없었다.


고등학교 3학년이 되어서야 공부를 시작했다. 이미 멀어질 대로 멀어진 수학은 아예 포기했고 암기로 승부를 볼 수 있는 과목들과 그나마 자신이 있었던 언어영역, 외국어영역을 주로 공부했다. 운동부 몇 명과 학교에 아예 나오지 않았던 몇 명 사이에서 치열하게 전투를 벌이던 내 성적이 몇 달 사이에 얼추 부모님께 보여드릴 수 있는 성적으로 바뀌었다.


전국을 빨갛게 물들였던 2002년 월드컵이 지나고 몇 달 후 나는 수능을 치렀다. 수능 전날에는 외가 친척들이 몰려와 내 수능을 축하(?)해주었다. 어른들은 엿과 찹쌀떡을 선물해주며 시험 꼭 잘 봐야 한다고 꼭 좋은 대학가야한다고 그래야 성공할 수 있다고 내게 부탁도 아니고 부담도 아닌 무언가를 엿과 찹쌀떡과 함께 전해주었다. 그리고 간단한 식사와 거대한 술판 그리고 야인시대 단체관람, 또 고스톱판이 벌어졌다.




영화 <타짜>(2006) 중



친척들이 원망스럽지도 않았고 친척들에게 화가 나지도 않았다. 심지어 나조차도 수능에 대한 기대가 없었기 때문이다. 사당오락이니 뭐니 하면서 밤을 새워 공부하는 수험생들 틈에서 수십 년놀고먹다가 이제야 자 공부한 내가 수능 대박을 바라는 건 양심에 어긋난 행동이었다.


수능시험을 치고 나서 처음으로 담임선생님과 진학 상담이란 것을 해봤다. 성적이 좋은 아이들은 학기 중에도 몇 번 했었다는 그 진학 상담을 나는 그때서야 처음 해봤다. 담임선생님은 그 몇 분 되지도 않는 시간에 내 말은 들으려고도 하지 않고, 내 점수에 맞는 몇 개의 대학을 강권하셨고, 나는 담임선생님의 친절한 권유를 다 듣고 나서 그냥 자리에서 일어났다. 내 학생기록부에 적혀있는 수상실적만 보셨더라도 그렇게는 말 안 하셨을 것이다. 선생님의 마음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다. 여기나 저기나 어차피 지방대인건 매한가지고 어느 과로 진학을 하든 결국 지방대인건 매한가지였으니까. 고를게 뭐가 있겠냐는 마음이셨겠지, 선생님의 마음은. 잘 안다. 이해할 수 있다.


담임선생님과의 진학상담 후에 직접 대학을 알아보기 시작했다. 일단 원하는 대학, 원하는 과의 작년도 입학 성적을 찾아보고 점수대가 얼추 비슷하다고 생각되면 그 과 홈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다 얻었다. 커리큘럼이나 졸업 후 진로상황, 교수와 강사 프로필. 그 외에 시시콜콜한 게시판 글들까지 하나하나 다 읽어봤다. 더 알고 싶은 것이 있으면 학과 사무실에 전화도 해봤다. 그렇게 진학하고자 하는 곳을 몇 군데 골랐다. 그러던 중에 어느 쪽으로 진학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엄청나게 많이 했다.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정말 많은 고민을 했고 불행하게도 그 고민은 대학 진학 후에도 여전히 하고 있다.


하여튼 난 수능을 치른 후 친구들 운전면허 따고 있을 시간에 밤새도록 전국에 있는 거의 모든 대학의 정보를 찾아봤고 한 달 후에는 담임선생님과 한마디 상의 없이 대학 원서도 냈다. 대학원서 마감일 즈음에 담임선생님에게 전화가 왔다. 원서를 썼다는 소식을 들으신 모양인지 아주 불쾌한 음성으로 어디에 원서를 썼는지 물어보셨다. , , 다군 모두 어느 대학, 어느 과에 썼는지 대답해드리고 나니 선생님이 크게 웃으셨다. 그리고는 너무 상향지원 아니냐, 혹시라도 떨어지면 어떻게 할 거, 물으셨다. 재수해야죠, 라고 답은 했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다시 수능을 치고 싶은 마음은 조금도 없다. 어쨌든 좋은 소식 있기를 바란다며 전화를 끊으셨고 두 달 후 까치까치 설날에 나는 원하던 대학의 합격 통지를 받을 수 있었다.


나는 지금도 담임선생님을 원망하지 않는다. 애초에 선택은 내 몫이었고 선생님은 오랜 경험자로써 조언을 해줄 뿐이었다. 난 그 조언을 듣지 않았을 뿐이다.


가끔 사람들 많이 드나드는 게시판에서 대학을 골라달라는 질문을 종종 보게 된다. 대학 이름 쭉 나열해놓고 어떤 대학이 가장 좋은지, 어떤 과가 취업이 잘 되는지를 묻는다. 사실 어떤 대학, 어떤 과에 진학하느냐는 정말 중요한 문제다. 물론, 대학 간판 그 자체도 중요하겠지만 어떤 대학에서 뭘 어떻게 배우느냐 역시 대학 간판만큼이나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. 어쩌면 일생에 가장 중요한 선택 중 하나 일지도 모른다.

부디 너무 쉽게 생각하지만 않았으면 좋겠다. 평생 후회하게 될지도 모르니.

 


 

 


※ 월간잉여 12월호에 실린 글입니다.

※이미 대학 선택 후 다니고 계실 분들이 많겠네요... 너무 늦게 업로드 한 것 같네여...